Storage – ZFS dRAID

OpenZFS의 설명서에 보면 dRAID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dRAID는 레이드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더 빠르게 복구할 수 있도록 통합 분산 핫 스페어를 제공하는 레이드의 변형입니다. dRAID vdev는 각각 D개의 데이터 디바이스와 P개의 패리티 디바이스로 구성된 여러 개의 내부 레이드 그룹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그룹은 사용 가능한 디스크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모든 하위 그룹에 분산되어 있습니다. 이를 패리티 디클러스터링이라고 하며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단순화되었지만 dRAID와 레이드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출처 : https://openzfs.github.io/openzfs-docs/Basic%20Concepts/dRAID%20Howto.html

기술용어로 짤막하게 줄이면 “dRAID는 레이드와 동일한 수준의 중복성 및 성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빠른 통합 분산 스페어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뭔가 살짝 좋아보이기는 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좀 더 찾아봤습니다. 그리고 오픈소스 스토리지로 유명한 TrueNAS 설명서에 보면 “dRAID 사용 권장 사항”

Shell

출처 : https://www.truenas.com/docs/references/draidprimer/

간단히 줄여보면 SSD 디스크가 100개 미만인 경우는 추천 사항이 아닙니다.

그래서 제 결론은 단독 서버로 사용하는 시나리오에서는 비추천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Read More

Storage – ZFS 소개

ZFS는 Zettabyte File System의 약자입니다. Zetta요? 스토리지 용량 얘기할 때 테라(tera)는 많이 들어 봤을겁니다.이것부터 한번 살펴보면… 대략 이렇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