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ack도 그렇고, Proxmox VE도 그렇고 Pacemaker가 자주 등장합니다. 회사다니던 시절에 듣기는 했으나, 실제로 관심 갖고 공부하거나 실무에 적용해본 경험은 없습니다. 그래서 EX436 시험을 준비하면서 기본적인 내용을 파악하려고 합니다.
EX436 관련해서 검색해도 그리 많은 자료가 있는 편은 아니라 혼자 준비할 경우에는 좀 망막할 것 같기는 합니다.
RH436의 교육 내용을 잘 이해했는지를 묻는게 목표인 시험이라, RH436 교육을 받고 Lab을 해보는게 최선이긴 합니다.
- RH436 Red Hat High Availability Clustering 교육 안내: https://www.redhat.com/ko/services/training/rh436-red-hat-enterprise-clustering-and-storage-management
- EX436 Red Hat Certified Specialist in High Availability Clustering exam 안내: https://www.redhat.com/ko/services/training/ex436-red-hat-certificate-expertise-clustering-and-storage-management-exam
오픈소스컨설팅 블로그에 올라온 글은 Pacemaker의 기본 개념을 파악하기에 도움이 아주 많이 됩니다.
현실적으로 진짜 도움되는 블로그도 하나 있습니다.
이전 버전 기준이기는 하지만, 누군가 정리해 놓은 스터디 노트도 시험의 윤곽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이것도 이전 버전 기준이긴 하지만, 유투브에 정리된 것도 있습니다.
비인기 시험이라 그런가 자료가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이 정도 자료면 시험 준비에 충분할 것 같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