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CA가 되려면 5개의 자격증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어떤 것을 취득할까 하다 요즘 제 주변서 종종 보이는 Pacemaker가 궁금해져서 시작한 자격증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앞서 올린 참고자료 보시구요.
- https://098.co.kr/ex436-%ec%b0%b8%ea%b3%a0-%ec%9e%90%eb%a3%8c-%ec%a0%95%eb%a6%ac/
RHCA Level 6(시험 10개 통과)인 중국 강사로 추정되는 분(?)이 정리한 글을 보면, 난이도 0에 해당하는 쉬운 시험입니다.
- https://blog.csdn.net/qq_29974229/category_12338865.html
다만, 제 생각에 난이도가 342가 5이고, 436은 0인건 좀 아닌 것 같구요. 그래도 1~2는 될 것 같습니다.
Lab 수준에서 출제되기 때문에 무난한건 동의합니다. 그런데 제가 1~2이라 생각하는 이유는
첫째, 시험 문제가 11개라 뭐하나 삐끗 잘못하면 감점이 크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300점 만점에 210점 통과니까 3개 이상 틀리면 안됩니다.
둘째, 문제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어서, 정확히 모르면 줄줄이 틀리는 상황이 생깁니다. 스토리지 구성과 관련된 문제의 경우 1) iSCSI 구성 > 2)다중경로 구성 > 3)LVM 구성 > 4)GFS2 구성까지 총 4 단계로 문제가 출제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구성한 스토리지로 웹 서비스를 하게 됩니다. 5 문제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만약 iSCSI 구성 못하면 그냥 탈락인거죠 ;; GFS2만 못했어도 http 구성까지 2개 같이 틀려서 떨어질 확률이 아주 높아집니다.
추가로 참고할만한 자료가 거의 없다는 것도 단점입니다. 유투브, 인터넷 모두 마땅한 자료가 없습니다. 딱 하나 국내 블로그에 글 하나 보이더라구요.
그나마 시험이 기본적으로 2번 볼 수 있어서 참 다행이었던 것 같습니다. 한번 떨어지면서 채점결과를 받아보고, 나왔던 문제와 제가 풀었던 방식 Lab 교재를 종합해서 복기해보니 대략 어떻게 풀어야겠다는 생각이 들긴 하더라구요. 다행히(?) 2차례 모두 같은 문제가 나왔습니다.
그렇다고, 공인교육을 안받은 분들이 쌩으로 보기는… 어렵다기 보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족할 것 같습니다. 매뉴얼 중심으로 준비한다면 명령어 예제 충실히 보는거 추천합니다.
출제수준은 공인 교육의 Lab 내용 수준입니다. 이것을 벗어난 내용은 출제되지 않았구요.
시험 환경에서 RHEL 8.4의 모든 메뉴얼이 제공되기 때문에 쉬운 측면도 있습니다. 그래서 명령어 외워가면서 풀을 필요도 없구요. 메뉴얼 참조해가면서 문제의 요구사항에 따라 CLI 명령문 만들어가면 됩니다.
딱 시험에 필요한 메뉴얼 제목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Configuring and managing high availability clusters
- Configuring and managing logical volumes
- Configuring device mapper multipath
- Managing storage devices
이들 메뉴얼에 관련 예는 다 있기 때문에, 그걸 기반으로 CLI 명령어 짜나가면 됩니다.
시험 팁
- 공인교육 받으신 분들은 Lab 교재의 마지막 종합연습 문제 여러 번(5번 추천) 해보세요: 외우려하지 설명도 같이 보세요.
- 시험 환경에서 SSH를 두번해야 합니다: 실습은 Workstation에서 nodea로 바로 들어갔으나, 시험환경은 좀 다릅니다. 터미널 열고 일단 control에 들어가서 다시 또 노드로 들어갑니다. FQDN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 Fence, constraint 구성은 마지막에 하는게 좋은 것 같아요: 구성 잘못했을 때 노드 리부팅/제한되는 상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공인교육에 MailTo가 이론 설명은 있고, 실습은 없습니다: 챙겨보시면 좋은 일이~
- 문제 순서에 주의하세요: httpd 서비스 구성하는게 먼저 나오고, 뒤에 스토리지 구성하는게 나옵니다. 스토리지 구성 먼저하고, 클러스터 구성 -> httpd 서비스 구성 -> 기타 식으로 하는거 추천 드립니다.
- 메일 구성은 수신확인할 수 있는 링크가 제공됩니다: 해당 링크 클릭하면 메일이 텍스트로 다운로드 됩니다. 꼭 확인하세요.
- 시험용 VM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시간 싸움이기는 하지만 여차하면 리셋하고 새로할 수 있습니다. 리셋한다면 VM 4개 모두 하세요. 4대를 순차적으로 리셋하는 시간이 좀 걸리긴 합니다. 그래도 CLI 명령어 잘 기록해 놓았으면 1시간 이내에 다시 풀 수 있습니다.
저는 CLI 명령어를 텍스트 에디터에서 완성한 다음에 붙여 넣는 식으로 진행했습니다. 좀 긴 명령어가 있기도 했고, 여차하면 초기화하고 처음부터 다시해야할 때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마무리
시험 결과는 대략 3시간 정도 후에 온 것 같구요. Credly 뱃지는 한 5시간 뒤에 온 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 Cluster Logging and Monitoring Configuration: 50%
두 번 다 저 부분에서 하나 또는 두 문제 틀린 것 같은데… 뭘 틀렸는지 잘 모르겠내요 ㅠ.ㅠ 이메일 관련된 것은 수신을 확인했기 때문에 맞은 것 같거든요. 그럼 로깅 관련 문제 틀렸다는건데… 로그 파일 생성되는 것도 확인한 상태라 참 모호합니다. 그리고 이거 하나 틀렸다고 -32점이라뇨 ;; 이래서 문항수 적은 시험이 무섭습니다.
뭐 어쨋든 RHCA에 한발짝 더 다가갔고, Pacemaker 맛보기는 했으니 이제(?) 좀 더 공부 좀 해야겠습니다.
2 comments
유용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합격 축하드립니다~
헉~ EX436 관련해서 찾아오신 분이 계시다니 ^^
감사합니다!